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여파로 국내선 항공기 값이 최저 2000원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최근 제주를 오가는 국내선 항공편은
탑승률이 30~40% 수준에 그치면서 가격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평년 1~2월 제주행 항공편은 겨울 한라산을 보려는 등반객들과 방학 기간
제주 여행을 하러 오는 관광객들로 인해 탑승률이 95~100%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신종 코로나) 확산으로 인해 국내
관광시장까지 위축되면서 항공기 탑승률도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같은 탑승률 하락은 국내선 항공권 가격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 항공권 예약 사이트에는 6일 서울 김포공항에서 제주로 향하는 에어부산
BX8011편 운임비가 최저 2880원으로 올라왔다.
이는 서울 중형 택시 기본요금인 3800원보다 1000원 가까이 싼 수준이다.
주말인 8~9일 제주에서 서울 김포로 출발하는
진에어 항공권들은 최저 9900원에 판매되고 있다.
다른 항공사들 역시 제주를 오가는 항공권 최저 가격은
1만원대 수준을 보이고 있다.
한 항공업계 관계자는 “제주를 기점으로 한 항공편의 경우
2월이면 비수기도 아니었다”며 “최근 신종 코로나 사태로 인해
탑승률이 가장 낮을 때는 30%대 수준까지 떨어지면서
가격 하락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주말인 1월31~2월2일 3일간 제주 방문 내국인 관광객 수는
7만620명으로, 설 연휴 직전 주말·휴일인 1월17~19일 10만6100명
대비 33.4%(3만5480명) 감소했다.
같은 기간 외국인 관광객 수는 6617명에 그쳐 1월17~19일
1만5087명보다 56.1%(8470명) 줄었다.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는 코로나바이러스 과(Family Coronaviridae)에 속하는
바이러스들을 지칭하며 일반적으로 조류 뿐만 아니라
사람을 포함한 다양한 포유류에서도 발견된다.
코로나바이러스는 그 종이 다양하고, 바이러스의 특성과 숙주에
따라서 호흡기와 소화기 감염병을 모두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사람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문제시되었던
사스(SARS)와 메르스(MERS)처럼 중증의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원인체로서
코로나바이러스가 주목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