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건강보험은 1977년 사회보장 정책의 일환으로 시작되어 이후

12년 만에 전 국민 의료보험으로  확대 시행되었습니다.

첫 걸음을 뗀 후 진료비심사시스템은 의료의 질적 보장을 위해 끊임없는

변화와 노력을 이어왔습니다. 그리고 2000년 7월 1일, 의료선진화를 향한

국민적 열망을 담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출범하였습니다.

 

국민이 낸 의료비가 제대로 쓰였는지 진료는 적정한지를 평가함으로써

국민의 현명한 의료소비를 돕고 신뢰받는 의료서비스 환경을 구축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해 나갈 것입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공정하고 투명하게 일함으로써 국민과 요양기관

모두로부터 신뢰받는 최고의

심사평가기관이 되고자 합니다.

 

비 고 ○ 2017년 결산: 동일 직급·직종·호봉의 성별 보수 차등은 없으나,

 

 

신규직원 중 여성 입사율이 높고 남성의 평균근속연수가 상대적으로

높음에 따라 여성 1인당 평균보수액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

비 고 ○ 신규직원 중 여성 입사율이 높아

여성 평균근속연수가 낮음 

비 고 ○ 2017년 결산: 동일 직무·연차에

해당하는 성별 보수 차등은 없음

비 고 ○ 2015년 말부터 무기계약직 운영 

윤리경영이란
기업이나 기관ㆍ단체 등이 경영(업무)활동을 함에 있어 본래 부여된

법적책임을 준수하는 것은 물론, 이를 넘어 사회통념상 기대되는

윤리적 책임의 준수까지도 기본적인 의무로서 인정하고, 모든 경영(업무)활동을

투명하고 공정하며 합리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윤리경영이란 국가ㆍ국민ㆍ고객 등 모든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신뢰를 구축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사회공헌 추진체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나눔을 통한 건강한 삶, 참여를 통한 행복한 사회'라는

 사회공헌 목표를 바탕으로 '나눔과 참여를 통해 이룩하는 건강한 삶,

 행복한 사회' 구현을 사회공헌 Vision으로 추구

건강보험과 보건의료 발전을 통한 국민건강 증진의 기관 Mission,

나눔과 참여를 통해 이룩하는 건강한 삶, 행복한 사회의사회공헌 Vision,

나눔을 통한 건강한 삶, 참여를 통한 행복한 사회의 사회공헌 목표,

 4대 핵심영역은 건강한 국민(Medication)과 건강한 의료문화(Medical Culture),

그리고 행복한 지역사회(Welfare)와 행복한 대한민국(Culture),

3대 철학은 문화를 통한 참여, 나눔의 실천, 더불어사는 지역사회,

 자발적 참여로 나눔을 실천하는 심평원 봉사단인 임직원봉사단

 

 

사회공헌 4대 핵심영역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업무특성을 반영한 「건강한 국민」,

「건강한 의료문화」, 「행복한 지역사회」, 「행복한 대한민국」

 4대 핵심영역별 사회공헌 활동 실시.

 

건강한 국민(Medication)

희귀난치병 환우 치료비 지원
건강+ 행복 캠프
건강+ 생명 나눔 헌혈
보건의약단체 사회공헌 활동

 

 

건강한 의료문화(Medical Culture)

건강+ 행복 어린이 도서관
행복을 전하는 희망동화책
휴먼스토리 프로젝트
어린이 건강지킴이 교실

 

 

행복한 지역사회(Welfare)

지역사회 봉사활동
저소득층 아동 자립지원을 위한 디딤씨앗통장(CDA)
1사1촌 봉사활동
불용사무자동화기기(PC, 모니터 등) 기증

 

 

행복한 대한민국(Culture)

문화소외계층을 위한 문화공헌 활동
소외계층 및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나눔콘서트
지역문화ㆍ예술 후원

 

※ 휴먼스토리 프로젝트는? 고령화 사회, 노인 인구의 정신건강

문제 해결을 위한 자존감 회복 프로그램
※ 어린이 건강지킴이 교실은? 아동 비만ㆍADHD 예방을 위한

방과후 건강교실 및 학부모 강좌 운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