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이란 살아있는 세균 또는 세균이 생산한 독소를 함유한 식품 섭취로 인해 설사, 복통 등의 급성 위장염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을 의미한다. 여름철 대표 식중독균으로는 병원성 대장균과 일본과 한국처럼 해산물을 많이 먹는 나라에서 6~10월에 집중 발생하는 장염 비브리오균 등이 있다. 여름철에 식중독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30℃에 육박하는 고온과 장마철로 인한 습한 기후 때문이다.

 

 

무더운 여름모르고 음식을 잘못먹어 병원신세를 지기도한다.
식중독하면 다 비슷해보이지만 원인과 증상에 따라 다르고 치료방법도 달라지는데.

 


수많은 원인균이 있고 특히 여름철에는 첫번째 병원성 대장균,살모넬라균, 캠필로박터,

장염비브리오이다.균마다 생겨나는 증상도 다르다.

 

1.특히 비브리오균은바다에산다
여름철 해수면의 온도가 올라가면 자란다. 비브리오균에 오염된 해산물을 먹게
되면 당일 보다는 12~24시간후 지나서 심한 구토, 다량의 수양성설사,복통이 일어
난다.

2. 살모넬라균의 경우는 전세게계적으로 많이 발생하는질병인데 가축에 대변에 많이 산다고한다.
과거에는 잘 씻지 않은 달걀과 채소, 과일,날고기등에서 잘 발견되었으나,요즘은 채소등을 잘 못씻었을때 샐러드가 오염되어 걸릴수있다. 증상은 고열,설사,구토,복통이 있다.

 

3.캠필로박터균은 육류가 오염되어 발생할 수 있다.햄버거 패티가 잘 안익혀졌거나
육회등을 먹고 났을때 생길 수있다.어른보다는 면연력이 약한 어린아이에게 증상이 심할 수 있다. 두통과 발열, 근육통이 생긴다.


4.병원성 대장균은 일반적으로 물갈이라고 하는 증상이다.출혈이 동반될 수 있는데 큰
합병증이 생길수도 있으니 조심하자

 


여름철 식중독은 해산물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햄, 치즈, 소시지와 같은 가공식품이나 우유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보툴리누스균과 병원성 대장균 때문이다. 보툴리누스균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통조림, 소시지처럼 내부에 산소가 없는 가공육, 가공식품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신경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독소를 생성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식중독예방법

 

1. 식품을 다룰 때 손씻기와 개인 위생을 청결히 하고 돼지고기, 닭고기 등 육류와 어패류는 완전히 익히도록 하고 칼이나 도마 등은 세제와 뜨거운 물로 씻는다.
2. 가능한 한 번에 먹을 정도의 음식을 만들고 상한 것이 의심되면 반드시 버린다.
3. 여름철에는 어패류를 날로 먹지 않는다.
4. 상하기 쉬운 음식은 차게 보관한다.
5, 여행자 설사의 위험이 높은 지역을 여행 할 때는 물을 끓여 먹거나 안전한 음료수 만을 마신다.

대부분의 식중독은 전해질 수액요법과 계속적인 식사요법을 통해 회복되므로 가정에서는 따뜻한 보리차물에 소금과 설탕을 조금 넣어서 마시게 하여 수분을 보충한다. 또한 지방이 많은 음식, 유제품, 커피, 콜라, 술 등 위장을 자극하는 음식은 절대 피하도록 하며, 식사는 미음이나 죽을 먹는 것이 좋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