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국민연금제도 시행 후 처음으로 연금수령액이 월 200만원을 넘는 수급자가 나왔다.
26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서울에 사는 A씨(65세)는 올해 들어 1월 연금수령액으로 200만7천원을 받았다.
국민연금제도가 시행되고서 30년 만에 처음으로 월 200만원 이상 수급자 시대가 열린 것이다.A씨는 국민연금제도가 도입된 1988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25년간 국민연금에 가입했다.A씨는 수령연령에 도달해 2013년 1월부터 매달 137만원을 받을 수 있었지만, 더 많은 연금을 받고자 연기연금제도를 활용해 5년간 연기했다.
A씨는 이렇게 5년의 연기기간이 끝나면서 올해 1월부터 연기 기간의 물가변동률과 연기 가산율(36%)을 반영한 월 198만6천원의 기본연금액에다 부양가족연금액을 포함해 월 200만7천원을 받는다. 연간으로는 2천408만4천원이다.
2007년 7월부터 시행된 연기연금제도는 국민연금을 애초 받을 시기보다 더 늦춰서 받는 것을 말한다.
국민연금을 타지 않아도 당장 생활하는 데 어려움이 없을 만큼 소득이 있고 고령화로 평균수명이 늘어난 상황에서 건강하다면 수령 시기를 늦춰 더 많은 연금을 받는 게 노후대비에 유리하다고 여기는 사람에게 알맞은 제도다.
수급권자가 연금 타는 시기를 최대 5년까지 늦추면 연기 기간을 따져 연 7.2%(월 0.6%)씩 이자를 가산해 노령연금을 받는다.보건복지부는 연기연금을 활성화하고자 2012년에 소득수준에 상관없이 연기연금을 신청할 수 있게 하고, 2015년 7월 말부터는 수급권자가 자신의 경제사정에 맞춰 연금수급 시기와 액수를 스스로 고를 수 있게 하는 등 선택의 폭을 넓혔다.2013년에 연기연금 신청자가 급격히 줄어든 것은 2012년(1952년생 이전)까지만 해도 만 60세에 노령연금을 받았으나 2013년(1953년생부터)부터 만 61세로 늦춰진 영향 탓이다. 연금개혁으로 2013년부터 5년마다 단계적으로 수급연령이 1세씩 뒤로 밀려 최종적으로 만 65세부터 받는다.
국민연금은 해마다 물가 상승률을 반영해 연금액수를 올려준다. 적정급여 수준을 보장해주려는 취지다. 물가상승을 고려하지 않아 실질가치가 현저히 떨어질 수밖에 없는 민간연금보다 훨씬 유리한 국민연금의 최대 장점이다.
국민연금은 가입자가 수급연령에 도달할 때는 노령연금을, 가입자가 장애를 입으면 장애연금을, 가입자가 숨지면 배우자 등 유족에게 유족연금을 준다
가입자가 퇴직 등으로 소득원을 잃을 경우 일정한 소득을 보장하는 제도로 88년 1월 1일부로 실시됐다. 연금은 18세 이상 국민이 일정기간 가입, 만 65세부터 혜택을 받는 것이 기본이며, 대표적인 연금급여종류는 노령연금·장애연금·유족연금·반환일시금 등 4가지. 연금액은 하후상박 구조로 되어 있어 소득이 많은 사람의 연금액 백분율이 소득이 적은 사람보다 낮으며, 평균액은 20년 가입 기준 최종 보수의 약 40% 수준이다.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거즈를 더하다' 2018시즌 오프닝 시리즈 (0) | 2018.03.19 |
---|---|
친일파 이영개 문화재 50년만에 일본서 돌아와 (0) | 2018.01.25 |
해외직구이용시 차지백 서비스 (0) | 2017.11.21 |
반도체의 슈퍼 사이클은 곧 끝난다? (0) | 2017.11.18 |
트럼프 이동수단 에어포스원 마린원 캐딜락원 (0) | 2017.11.16 |
한국 핵잠수함 당장 필요한가 (0) | 2017.09.30 |
중고 치누크(CH-47D) 헬기 (0) | 2017.09.29 |
아셈경제장관회의 이낙연 국무총리 (0) | 2017.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