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은 점진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무릎 관절 부근이 붓기도 한다. 무릎 관절을 굴곡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생기게 되며, 강직이 발생하게 된다.

퇴행성 관절염의 경우 활동 후에 통증이 증가하므로,

저녁이나 수면 전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다.

진단/검사

무릎의 동통, 운동범위 등을 확인한 후 X-ray 검사를

통해 관절간격의 감소를 관찰한다. 이외에도 MRI와

같은 정밀한 영상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치료

1. 보존적 치료

1) 생활 습관의 교정 
가급적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달리기 등 무릎 관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2) 약물 치료 
우리가 알고 있는 아스피린, 타이레놀과 같은 단순 진통제가

일반적인 관절염의 일차적인 치료제이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소염제(NSAID)는 조금 더 효과적일 수 있으나

위장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며,

관절에 주입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항소염제인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도 한다. 히알루론산이 포함된 윤활제는

관절액의 질을 높이기 위해 퇴행성 관절염이 있는 경우에 주사한다.

 

3) 운동

4) 보조기 사용

5) 기타 보존적 치료

2. 수술적 치료 
만약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관절염인 경우

수술적 치료가 불가피하며, 수술적 방법으로는 관절

내시경적 수술, 근위 경골 절골술, 인공관절 치환술 등이 있다.

퇴행성무릎관절염의 진행
1. 연골이 닳아 관절의 부드러운 부분이 점차 없어진다.

부서진 연골 조각이 관절 내에 남아 관절의 움직임을 방해한다.
2. 연골을 보완하기 위해 관절의 가장자리에 돌기처럼 뼈가

 불규칙적으로 나타나 움직일 때마다 아프다.
3. 연골이 다 닳아 뼈와 뼈가 직접 부딪친다.

관절이 뻣뻣해지고 통증이 생겨 이를 스스로 치료하려고

윤활액이 많이 나와 관절이 붓는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