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년차 여성그룹 브라운아이드걸스가 4년 만에 완전체로 돌아왔다

28일 오후 CGV 청담씨네시티 엠큐브에서는 브라운아이드걸스의

리메이크 앨범 <리바이브(RE_vive)> 발매 기념 음악 감상회가 열렸다.


이번 리메이크 앨범에는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한국 가요사를

빛낸 10곡의 명곡이 담겼다. 더블 타이틀곡 ‘원더우먼’ ‘내가 날 버린 이유’를 비롯해 ‘

결국 흔해 빠진 사랑얘기’ ‘애수’ ‘미소를 띄우며 나를 보낸 그 모습처럼’ ‘하늘’ 등이

단체곡으로 수록됐다. 여기에 가인의 솔로곡 ‘사랑밖엔 난 몰라’, 나르샤의 솔로곡

 ‘사랑은 봄비처럼 이별은 겨울비처럼’, 엄정화가 직접 피처링한 미료의 솔로곡 ‘초대’,

제아의 솔로곡 ‘편지’까지 더해졌다.


미료는 “그동안 퍼포먼스 위주의 공연을 많이 보여드렸다. 보컬적인 역량을 선보일 기회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만 하다 지금이 때인 것 같아 작정하고 (노래를) 불러봤다”고 말했다.

 제아는 “리메이크 앨범을 계속 구상만 해오다가 한데 의견이 모아진 지는 2년 정도 됐다.

1년 반 정도를 준비했다”고 밝혔다.


타이틀곡 ‘내가 날 버린 이유’는 작곡가 겸 가수 정재형이 속한 베이시스가 1995년 발표한

곡이다. 브라운아이드걸스만의 폭발적 가창력과 악기 사운드가 더해져 원곡이 가진 슬프고 몽환적 느낌을 극대화했다. 또 다른 타이틀곡 ‘원더우먼’은 가수 조원선이 2003년 발표한 곡으로, 어쿠스틱한 원곡 분위기에 펑키한 기타 연주와 일렉트로닉한 분위기를 더해 경쾌하고 신나는 느낌으로 재탄생

브라운 아이즈 - 브라운 아이드 소울을 잇는 'Brown Eyes' 시리즈의 세 번째 그룹이자, 쥬얼리의 해체(2014년)로 인해 2019년 현재 사실상 한국내 최장수 걸그룹이다. 디바의 뒤를 이어 두 번째로 가장 많은 정규 앨범을 발표한 걸그룹이기도 하다. 이는 베이비복스와 타이 기록이다.

 

현역 걸그룹 중 유일하게 10년 동안 멤버 탈퇴/변경/해체가 없는 그룹이기도 하다.

원래 아이돌이 아닌 보컬 그룹이었으나, L.O.V.E.를 기해 아이돌로 전환했다. 멤버들의 솔로 활동 때에도 각기 탱고, 하우스 음악, 미디엄 템포, 성가 형식의 듀엣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소화해 내는 역량을 가지고 있는 팀이다. 누구도 부인하지 않는 (팀 평균 수준으로서) 걸그룹 가창력 원탑이다.

 노래 잘 하기로 소문난 스피카, 마마무 등이 '그나마 브아걸에 비벼볼 만 하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
앨범이 거듭되면서 점점 초기의 색깔을 잃고 상업적으로 변모해 간다는 비판도 듣고 있지만,속된 말로 본가는 망하고, 외도는 성공한 케이스 소울이나 R&B는 외면받고 댄스곡은 확실하다 못해 압도적인 성적을 보여주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흐름이다.[9] 같은 시기 활동한 R&B그룹 씨야(seeya) 가비엔제이(Gavy NJ)의 현 상황을 보면 브아걸의 선택이 잘못되었다고 비판할 순 없을 듯하다.

 

다만 단순히 댄스곡으로 선회했다고 해서 상업적이라고 욕하는 비판은 옳지 않다. 오히려 음악적인 평가에서는 이전보다 훨씬 풍성해지고 수준높아졌다는 말을 많이 듣고 있다.

 

사실 아브라카다브라가 여러 연예인들이 우스꽝스럽게 패러디하고 희화화 돼서 그렇지 곡 자체는 굉장히 잘빠진 일렉트로닉 팝이라는 칭찬도 많이 받았다. 심지어 브아걸을 지금의 위치에 올려준 앨범 Sound G는 한국의 그래미로 통하는 한국대중음악상에서 그해 최고의 일렉트로니카 송 부분을 시상받기도 하였다. 오히려 과거의 천편일률적인 소몰이 붐에 편승한 채 활동했다면 여타 그룹들과 마찬가지로 노래 몇 개만 알린 그룹으로 조용히 사라졌을 수도 있다

+ Recent posts